2011년 1월 28일 금요일

한겨울 성균관 나들이

평일의 성균관 명륜당은 한산하다. 경내엔 관람하러 온 한 가족이 유일하다. 대성전 출입문은 잠겨 있는데 오늘은 열려있다. 며칠 전 내린 눈이 아직 그대로 쌓여있다. 성균관의 상징인 은행나무 두 그루는 봄을 준비하고 있다.
1/2011
명륜당/성균관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불교와 유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6m, 가슴높이 둘레 12.09m에 이르는 웅장한 나무로 가지 발달이 왕성하고, 유주(乳柱)가 잘 발달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은행나무는 성균관대 근처에 있는 문묘(文廟)의 명륜당(明倫堂) 경내에 서 있는데, 임진왜란(1592) 당시 불에 타 없어졌던 문묘를 다시 세울 때(1602)에 함께 심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 생물학적·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

성균관(成均館)

조선 개국후 태조는 오늘날의 국립대학격인 성균관을 세운다. 이 곳의 지명은 '가르침을 숭상한다'는 뜻의 숭교방(崇敎坊;오늘날의 명륜동,혜화동 일대)이었다. 마로니에 공원이 위치한 현재의 동숭동은 숭교방 동쪽에 있다는 의미다.

성균관은 인재양성을 위한 유학교육기관으로 그 기원은 중국의 주(周)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천자의 도읍에 설치한 벽옹이나 제후의 도시에 설치한 반궁(泮宮)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선 고려의 국자감(國子監)이나 신라의 국학(國學), 고구려의 태학(太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2011
서무/문묘

며칠 전 내린 눈이 지붕에 그대로 쌓여있다. 앙상한 가지위에 새 집이 또렸하다. 사람 다닐 수 있도록 눈을 치워 놓았다.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긴다.
1/2011
대성전/문묘
대성전 현판

원래 이름은 대성전(大聖殿) 이었으나 단종때 대성전(大成殿)으로 고쳤다고 한다.
1/2011
명륜당/성균관

명륜당을 포함한 성균관과 문묘는 보수공사가 진행중이다. 문묘와 성균관은 보물 141호로 지정되어 종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1/2011
존경각/성균관

존경각은 오늘날의 도서관에 해당한다.
1/2011
서재/성균관


문묘(文廟)

서울 문묘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세우고 정종 2년(1400)에 불에 탄 것을 태종 7년(1407)에 다시 지었으나, 이 역시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렸다. 현재의 건물들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지은 것이다.

문묘는 대성전을 비롯한 동무·서무 등 제사를 위한 공간인 대성전 구역과 명륜당, 동재·서재 등 교육을 위한 공간인 명륜당 구역으로 크게 나뉘어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선조 34∼35년(1601∼1602)에 지은 건물로, 공자를 비롯해 증자·맹자·안자·자사 등 4대 성인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10철, 송조 6현, 그리고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건물의 두 옆면과 뒷면 벽 아랫부분에 돌아가며 낮게 벽담을 쌓았는데, 이는 중국 건축 기법을 느끼게 한다. 대성전 앞에 마주해 있는 동무와 서무는 공자의 제자와 중국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선조 36∼37년(1603∼1604)에 세웠다. 동무와 서무 끝에서 시작하여 주위로 담장을 둘러 대성전 구역과 명륜당 구역을 나눈다.

교육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은 대성전의 뒤편에 위치해 있는데, 선조 39년(1606)에 지은 건물로 가운데 중당과 양옆에 있는 익실로 구분하는데, 중당은 옆면에서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고 익실은 팔작지붕으로 중당보다 조금 낮게 구성되어 위계(位階)를 나타내 주고 있다. 지붕과 처마의 높낮이와 전체적인 건물의 균형이 우리나라 건축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명륜당 앞에 마주하여 남북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서재는 기숙사 공간으로 성균관(成均館)이라 알려져 있다.

서울 문묘는 조선시대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며, 또한 건축사 연구의 자료로서 전통과 역사가 깊이 배어있는 곳이다.

자료 출처: 문화재청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의 성균관이 위치한 성균관대학교를 포함한 인근 지역은 대학로로 통칭된다. 예전 서울대가 위치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지만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면 원래 대학로였다고 볼 수 있다.

댓글 2개:

  1. 한겨울, 잔설속의 성균관은 역시 기품있는 모습이군요.
    덕분에 좋은정보를 통해서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답글삭제
  2. 만추에 가도 운치 있는 곳 입니다.
    새해 복 마니 받으세요. ^.^

    답글삭제